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옥수수 병피해 해충피해 검은줄오갈병 깜부기병

by 발름 2021. 5. 29.
반응형

옥수수 병피해 해충피해 검은줄오갈병 깜부기병


옥수수 병피해 검은줄오갈병


발생환경

옥수수 검은줄오갈병의 매개충으로 애멸구와 운계멸구 등 멸구류에 의해 주로 전염하며, 종자, 접촉, 토양 및 새삼에 의해서는 전염되지 않는다. 옥수수 검은줄오갈병의 전염 경로는 먼저 감염된 벼로부터 5세대 애멸구 약충이 바이러스를 획득하여 가을에 보리에 감염시키거나 월동 후 애멸구가 3~4월에 보리, 옥수수, 논으로 이동하여 보리에 감염 발병시켜서 중간 전염원이 된다.

또한, 겨울을 지난 애멸구 성충에 의하여 산란된 난이 부화하여 약충이 되어 보리 감염주로부터 바이러스를 획득한 후 보독충이 되어 비래하여 감염되기도 한다. 옥수수 검은줄오갈병의 기주식물로는 화본과 작물로서 벼, 보리, 밀 등 25종이며, 그 외 잡초에서는 돌피, 바랭이 등이 알려져 있다.

증상설명

황색 모자이크와 위축이 심하게 되고, 잎이나 줄기에 돌기가 생긴다. 초기 병징은 잎에 엷은 황색 모자이크를 보이며, 초장이 짧아져 건전한 옥수수와 비교할 때 위축 증상을 보인다.

후기 출수기에는 잎 뒷면의 엽맥부분과 줄기에서 백색의 돌기가 생기고, 진전되면 갈색 혹은 흑색으로 변한다. 초기에 감염될 때는 현저하게 위축되며 개화 결실이 되지 않는다.


방제방법

- 저항성 품종을 재배하고, 잡초가 많은 논둑, 제방 또는 보리밭 근처에 재배를 하지 않는다.
- 병든 식물은 발견 즉시 제거하며, 매개충을 철저히 방제한다.

 

 



옥수수 병피해 깜부기병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든 부위 혹은 토양 내에서 후막포자의 형태로 겨울을 보낸 후 발아하여 소생자를 형성한다. 이 소생자는 바람에 의해 비산(飛散)되어 옥수수 식물체에 부착하게 되면 균사를 내어 연약한 조직을 뚫고 식물체내에 침입한다. +성 또는 -성의 단성(單性)소생자에서 생긴 균사도 옥수수 식물체에 침입하여 병반을 형성할 수는 있으나 혹을 형성할 수는 없다. 즉 소생자의 이성간 접합에 의해 생긴 균사만이 혹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병의 잠복기간은 7~21일간이다.


증상설명

암수의 이삭, 줄기, 잎, 그리고 드물게 뿌리에 발생한다. 병든 부위는 이상비대(異常肥大)로 말미암아 혹으로 변하며, 큰 혹의 직경은 10㎝ 이상에 달한다. 혹은 초기에 광택이 있는 하얀 막에 싸여 있으나 후에 이 막이 터지고 속에서 검은 가루모양의 후막포자가 나온다.

방제방법

- 이 병에 잘 걸리지 않는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한다.
- 종자를 소독하여 파종한다.
- 재배시 식물체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주의한다.
- 질소질비료의 과용을 삼가하고, 균형시비(均衡施肥)를 한다.
- 병든 식물체는 일찍 제거하여 태워버린다.
- 병든 식물체는 퇴비로 쓰지 말아야 하며, 병든 식물체가 들어 있는 퇴비는 포장에 시용하지 않는다.

 

 

반응형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