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수수 병피해 해충피해 뿌리썩음병 줄기썩음병
뿌리썩음병
발생환경
배수가 불량하거나 토양이 장기간 과습한 경우에 발생된다. 발병 최적온도는 28-30℃ 정도로 고온이다. Pythiogeton은 수생생활을 하는 부생균으로 식물병원균으로 보고된 전례가 없어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본 병원균은 수원의 일부 옥수수 육종포장에서 대 발생한 바 있다.
증상설명
생장이 위축되고 뿌리와 땅가 줄기내부가 심하게 썩는다. 심하게 병든 포기는 생기를 잃고 누렇게 되다가 결국 시들고 죽는다. 줄기를 갈라보면 내부가 검게 썩어 있는데 Pythium에 의한 뿌리썩음 증상과 비슷하다.
방제방법
방제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다. 하지만, 병원균의 특성으로 볼 때 배수를 철저히 하고 포장이 침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병 예방에 중요하다. 병원균은 역병균과 모잘록병균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줄기썩음병
발생환경
병원세균은 토양내 식물체 잔재물에서 부생적으로 생존하다가 고온 다습한 환경조건이 되면 옥수수의 잎이나 줄기에 있는 자연 개구부위 또는 상처를 통하여 침입한다. 또한 종자전염이 가능하다.
줄기썩음병은 강우가 많은 지역, 스프링클러로 관개하는 지역 또는 관수량이 필요 이상으로 많은 포장에서 발생이 심하다. 병 발생은 고온(30~35℃)기에 포장내 공기순환이 불량하고 다습할 때 발생이 심하다.
증상설명
포장이 과습하고 온도가 높을 때 발생하는 중요한 병으로 초기 증상은 생육 중기부터 나타난다. 주로 지제부의 마디사이가 황갈색 또는 암갈색으로 변색되며 병이 진전되면 옥수수가 갑자기 쓰러진다. 병든 부위의 조직은 뜨거운 물에 데친 듯 수침상으로 썩고 끈적거리며 심한 악취가 난다.
병에 걸린 식물체의 유관속 조직은 건전하기 때문에 병 발생 초기에는 건전하게 보인다. 정단부와 상부줄기의 썩음은 강물 또는 정체된 호수 물로 스프링클러 관개 시 주로 발생한다. 최상위 잎의 끝은 시들고 병이 진전되면 잎의 기부가 끈적거리면서 썩는다.
방제방법
- 스프링클러 관수와 포장내 과습을 피하고 적절한 수분을 유지한다.
- 저항성품종을 재배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