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콩 병 피해 종류 노균병 모자이크병 증상 방제방법

by 발름 2021. 5. 14.
반응형

 

콩 병 피해 종류 노균병 모자이크병 증상 방제방법


 

콩 노균병

 


노균병 발생환경
병원균은 난포자의 형태로 종자 혹은 병든 식물체의 조직 내에서 겨울을 지낸 다음, 포자낭 및 포자를 형성하여 공기전염을 한다. 기온이 서늘하고 습도가 높을 때 새로 감염된 잎에서 포자가 형성되어 다른 잎으로 공기전염이 이루어지며, 노쇠한 잎에서는 포자형성이 잘 되지 않는다.

종자에 감염된 병원균은 종자가 발아 시 균사를 신장시켜 자엽을 침해하며, 이후 묘에 전신 감염을 일으키고, 식물체의 다른 부위 감염에 주요 전염원이 된다. 이 균의 포자형성은 10~25℃에서 이루어지고, 30℃ 이상, 10℃ 이하에서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포자형성 최적온도는 20~22℃이다.

노균병 증상설명
콩과 완두의 잎, 꼬투리 종자에 발생한다. 잎 표면에 처음에는 부정형의 퇴색한 부정형 반점이 생기고, 감염부위가 담황색을 띤다. 병이 진전되면 병반이 융합하여 부정형으로 확대되고, 잎 뒷면에는 희고 가는 털 모양의 곰팡이가 형성된다. 병든 잎은 후에 퇴색되고, 누렇게 말라죽는다. 병든 꼬투리와 종자의 표면에는 회색의 곰팡이가 자라 균총 덩어리가 형성된다.

노균병 방제방법
- 저항성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한다.
- 무병지에서 채종한 종자를 파종한다.
- 밀식을 피하고, 통풍이 잘 되도록 한다.
- 병든 식물체를 일찍 제거하여 불에 태워버린다.
- 수확 후 경운을 하여 표토를 땅속 깊이 갈아엎도록 한다.
- 병 발생이 심한 포장은 화본과 작물이나 십자화과 채소류 등 다른 비기주 작물과 돌려짓기를 한다.
- 종자소독제를 이용하여 종자를 소독하여 파종한다.

콩노균병사진

 

 

 

 



콩 모자이크병


모자이크병 발생환경

SMV는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에 발생되고 있으나 중부지방이 발병이 많고 남부지방은 적은 편이다. 콩 모자이크 바이러스 중 괴저형은 경기, 강원 지방에서 흔히 볼 수 있고, 남부지방으로 갈수록 차차 적어져 발병률이 거의 없다. 종자, 즙액 및 매개충인 진딧물에 의해서 전염이 된다.
특히, 병든주에서 수확한 콩 종자에 의한 종자전염은 품종이나 감염시기에 따라서 차이가 있어서, 개화기 이전에 감염된 것은 종자 전염율이 높고 특히 어려서 감염된 것이 전염율이 높다. 종자 전염율은 일반적으로 10% 미만이나 높은 경우는 약 20~40%이다. 충매전염의 매개충으로는 기장테두리진딧물, 콩진딧물, 아카시아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감자수염진딧물 등이다.
SMV의 피해는 감염 정도에 따라 다르며 건전주에 비하여 크기, 가지수, 꼬투리수, 콩알수, 수량 등이 훨씬 적다. 콩 모자이크병 기주 식물로는 콩, 강낭콩 등 약 30종이 알려져 있다. AMV는 전 세계에 넓게 분포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콩이 재배되고 있는 지역에서는 어디서나 볼 수 있다. 종자전염, 즙액전염 및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등 13종의 진딧물에 의한 충매전염을 한다. 포장에서 자연 감염이 되고 있는 식물로는 콩, 감자, 크로바, 담배, 고추 등이다.


모자이크병 증상설명
SMV에 감염되면 모자이크형과 괴저형의 병징이 있다. 모자이크형의 초기 증상은 새로 나온 잎의 잎맥이 투명하게 되며, 이후에는 암녹색의 모자이크로 나타나게 된다. 그 외의 잎은 일반적으로 잎맥 주위에 심한 주름이 생기고 잎 가장자리가 아래쪽으로 말리는 병징을 보인다.
병든 정도에 따라 다르나 꼬투리는 충실치 못하고 한쪽으로 구부러지며, 콩알에는 갈색 무늬가 생기는데 색이나 모양은 품종과 감염 부위에 따라 다르다. 괴저형은 잎에 암갈색의 반점이 생기고 진전되면 잎맥과 잎맥 사이가 적갈색으로 괴저를 일으킨다.
이 괴저병반은 잎맥에 따라 잎자루를 거쳐 줄기에 이르게 되며 차차 확대되어 정단과 가지눈, 꽃눈이 모두 고사하게 된다. 순이 고사한 후에도 나머지 잎은 수확기까지 농녹색으로 남아 있는 것이 특징이다. 어릴 때 감염되면 결실되지 않으며 꼬투리가 달린 후에 감염되면 꼬투리에 갈색 반점이 나타난다.
AMV의 초기 병징은 새로 나온 잎에 잎맥이 투명하게 되고 모자이크가 나타나며 정단부가 아래로 굽는다. 병징이 진전되면 잎이 약간 울퉁불퉁해지며 아래쪽으로 말리고 황색의 얼룩 반점이 잎 전면 또는 부분적으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건전주보다 일찍 황색으로 변하여 낙엽 된다.

모자이크병 방제방법

- SMV에 감연된 콩 종자는 검은 또는 갈색 줄무늬가 있으므로 종자로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 제1차 전염원은 종자이므로 종자 전염주는 발견 즉시 제거한다.
- 포장 주위의 야생콩을 모두 제거하고, 저항성 품종을 재배한다.
- AMV의 방제는 건전주에서 채종한 콩을 종자로 사용하며, 전염원이 되는 크로바 등 잡초를 제거한다.
- 병든 식물을 조기에 제거하고, 진딧물을 철저히 방제한다.

콩모자이크병사진



반응형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