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75 콩 병 피해 검은뿌리썩음병 괴저모자이크병 균핵병 등 방제방법 콩 병 피해 검은뿌리썩음병 괴저모자이크병 균핵병 등 방제방법 검은뿌리썩음병 발생환경 이 병은 1980년 국내에 처음으로 보고되었으며 평균 발병률이 5%미만으로 큰 피해는 없으나 심한 포장은 수량을 기대할 수 없을 만큼 피해가 크다. 병원균의 생육적온은 27℃전후로서 고온기인 7~8월에 많이 발생한다. 병원균은 병든 식물조직에서 소립균핵 상태로 겨울을 지내며 주로 지표면에 접촉된 줄기 부위를 침입한다. 초기에는 병징이 잘 나타나지 않으나 장마가 오래 계속되고 온도가 낮을 때 병원균의 생장이 왕성하여 심하게 병든 개체는 잎이 누렇게 된다. 장마가 계속되면 줄기는 생육이 가능하지만 장마가 끝나고 건조하면 잎이 황화된다. 병에 걸린 식물체에 형성된 자낭과 소립균핵은 농기구나 바람에 의해 주변으로 퍼져나간다. 이.. 2021. 5. 14. 퀴노아 병피해 및 방제방법 노균병 퀴노아 병피해 및 방제방법 노균병 노균병 발생환경 6월에 발병하기 시작하며,7월 장마철에는 발병률이 매우 높다. 병원균은 최소6시간 동안 100%의 상대습도가 유지되어야만 분생포자를 형성하며,발병적온은15~20℃이다.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조직 속에서 난포자 상태로 월동하여 이듬해 새로운 식물체가 파종되어 생장하면 다시 발아하여 지상부로 침입하고,잎 뒷면에서 다량의 포자를 형성하여 공기 중으로 쉽게 전반된다. 증상설명 잎에서는 발병 초기에 연한 노란색 점무늬가 형성되고,뒷면에는 흰색의 분생포자경과 연갈색의 분생포자가 대량으로 형성되어 회색 또는 갈색으로 보인다. 병이 진전되면서 병반이 잎 전체로 퍼지고,조기낙엽을 가져온다. 방제방법 병든 식물체는 조기에 제거한다. 노균병은 일단 발병하면 병 진전이 빨라.. 2021. 5. 14. 팥의 해충 피해 및 방제방법 거세미나방 썩덩나무노린재 콩명나방 팥바구미 풀색노린재 팥의 해충 피해 및 방제방법 거세미나방 썩덩나무노린재 콩명나방 팥바구미 풀색노린재 거세미나방 생태정보 거세미나방은 연 2~3회 발생하며 성충의 발생최성기는 6월 중순, 8월 중순 및 10월 상순이다. 검거세미나방은 연 3회 발생하며 성충의 발생최성기는 6월 중순, 8월 중순 및 9월 하순이다. 숯검은밤나방은 9월 중순부터 10월 하순에 걸쳐 연 1회 발생한다. 피해정보 어린 유충은 잎 등에 해를 입히지만 피해는 심하지 않다. 하지만 3령 이상의 유충은 겉흙에 서식하면서 기저부에 가까운 어린 작물의 줄기를 잘라 그 일부를 땅속으로 끌어들여 피해를 입힌다. 두과작물, 유료작물, 가지과작물, 박과작물 등 대부분의 어린 작물에 피해를 준다. 생물학적 방제방법 나방류 해충 방제에 활용이 가능한 유기농업자재는 식물.. 2021. 5. 14. 팥의 병 피해 - 겹무늬병 바이러스병 탄저병 흰가루병 팥의 병 피해 - 겹무늬병 바이러스병 탄저병 흰가루병 팥의 병 피해 - 겹무늬병 발생환경 8월부터 9월까지 주로 발생한다. 병원균은 포자 형태로 병든 잎의 잔재물에서 월동한후 이듬해 전염원이 된다. 포자에서 분출한 원형세포가 바람에 날려 기주에 도달하여초기 병반을 만들어 1차 전염이 일어난다. 온도가 높고 습기가 많은 여름철의 장마기에 바람이나 빗물에 의하여 전파되어 초가을까지 발생이 심한 경우도 있다. 증상설명 잎에 발생한다. 발병 초기에는 회색 내지 녹색에서 혹은 갈색 내지 회색이면서 경계가 확실하지 않는 원형 또는 부정형의 반점이 나타난다. 병반이 확대됨에 따라 뚜렷한 갈색의 겹무늬가 나타나고,병반 중앙 부위는 회백색이 된다. 각각의 병반은 합쳐져 대형병반으로 발달하며,심해지면,잎은 마르고 조기에 .. 2021. 5. 14. 이전 1 ··· 90 91 92 93 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