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59

옥수수 병피해 해충피해 뿌리썩음병 줄기썩음병 옥수수 병피해 해충피해 뿌리썩음병 줄기썩음병 뿌리썩음병 발생환경 배수가 불량하거나 토양이 장기간 과습한 경우에 발생된다. 발병 최적온도는 28-30℃ 정도로 고온이다. Pythiogeton은 수생생활을 하는 부생균으로 식물병원균으로 보고된 전례가 없어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본 병원균은 수원의 일부 옥수수 육종포장에서 대 발생한 바 있다. 증상설명 생장이 위축되고 뿌리와 땅가 줄기내부가 심하게 썩는다. 심하게 병든 포기는 생기를 잃고 누렇게 되다가 결국 시들고 죽는다. 줄기를 갈라보면 내부가 검게 썩어 있는데 Pythium에 의한 뿌리썩음 증상과 비슷하다. 방제방법 방제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다. 하지만, 병원균의 특성으로 볼 때 배수를 철저히 하고 포장이 침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병 예방에 중요하다.. 2021. 6. 9.
옥수수 병피해 해충피해 깨씨무늬병 깜부기병 옥수수 병피해 해충피해 깨씨무늬병 깜부기병 옥수수 병피해 깨씨무늬병 발생환경 곰팡이는 포장에 있는 병ems 잔재물에서 포자나 균사로 겨울을 지낸다. 포자는 바람이나 빗방울에 의해서 식물체로 옮겨가서 일차감염을 일으킨다. 병반에 형성된 포자는 1, 2차 전염원이 된다. 발병은 호적한 조건에서는 약 60-72 시간이면 완료된다. 감염된 곡실은 병을 전파시키는 중요한 겨울 보내기 기관이다. 옥수수 깨씨무늬병은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며 따뜻하고 (20-30℃) 다습한 기후에는 피해가 심한 병이다. T레이스는 O레이스보다 북쪽지역에서 잘 발생하며 비가 적은 건기에는 병 발생이 적다. T레이스와 O레이스는 정상적인 세포질 옥수수에서의 병징 만으로서는 동정하기가 어렵다. T레이스는 Tm-sc 유전자를 가진 옥수수에 병.. 2021. 6. 1.
옥수수 병피해 해충피해 검은줄오갈병 깜부기병 옥수수 병피해 해충피해 검은줄오갈병 깜부기병 옥수수 병피해 검은줄오갈병 발생환경 옥수수 검은줄오갈병의 매개충으로 애멸구와 운계멸구 등 멸구류에 의해 주로 전염하며, 종자, 접촉, 토양 및 새삼에 의해서는 전염되지 않는다. 옥수수 검은줄오갈병의 전염 경로는 먼저 감염된 벼로부터 5세대 애멸구 약충이 바이러스를 획득하여 가을에 보리에 감염시키거나 월동 후 애멸구가 3~4월에 보리, 옥수수, 논으로 이동하여 보리에 감염 발병시켜서 중간 전염원이 된다. 또한, 겨울을 지난 애멸구 성충에 의하여 산란된 난이 부화하여 약충이 되어 보리 감염주로부터 바이러스를 획득한 후 보독충이 되어 비래하여 감염되기도 한다. 옥수수 검은줄오갈병의 기주식물로는 화본과 작물로서 벼, 보리, 밀 등 25종이며, 그 외 잡초에서는 돌피,.. 2021. 5. 29.
조 병충해 피해 애긴노린재 조명나방 조 병충해 피해 애긴노린재 조명나방 조 병충해 애긴노린재 생태정보 연 3세대 발생하고 세대별 성충의 발생최성기는 4월 중순, 6월 중순, 8월 하순이며 8월 하순∼9월 중순경에 가장 발생량이 많다. 성충과 약충이 조나 수수의 이삭이 팬 후부터 수확할 때까지 이삭에 주로 발생한다.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기는 이삭이 여무는 중기 이후부터 수확기까지이다. 암컷은 이삭에 알을 낳고, 알에서 깨어난 약충과 성충은 이삭의 갈라진 틈과 위쪽 잎에서 생활한다. 특히 조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발생이 많을 경우 이삭 당 100마리 이상 발생하여 피해를 준다. 피해정보 조에 가장 큰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부화한 약충이 군집하여 살면서 집중적으로 이삭을 흡즙 하는데, 피해가 많은 이삭은 검은색으로 변하여 수량과 품질을 떨어.. 2021. 5. 28.

loading